요즘에 많은 사람들이 '돈벌기', '목만들기' 뿐만 아니라 '주식'과 '펀드'에도 엄청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여러가지 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면 유튜브에도 경제관련 채널이 수백개가 된다. 나도 이런저런 주변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경제에 관심이 생겼다.
경제에 'ㄱ'도 모르는 1人으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하는지 막막하더라.
그래서 생각했다. 우선 만화로 된 책을 읽어보자.
우선, 리디북스 리디셀렉트에서 바로 볼 수 있는 만화책을 골랐다. 말했듯이 나는 경제 무지랭이다. 아무것도 모른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추천하는 경제신문을 읽는다거나 블로그나 팟캐스트를 들어도 무슨 말을 하는건지 모르겠더라. 창피하지만 이게 나의 지식상태였다. 그래서 나는 상식을 키우는 것이 경제공부 시작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우선 경제라는 것을 읽고 보는 것에대해 익숙해지자는 생각으로 길벗에서 나온 경제만화를 봤습니다.
이렇게 책으로 보는것이 부담스럽다면, 유튜브를 보는 것도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동영상보다 텍스트를 더 좋아해서 저는 만화를 선택했습니다.
이런저런 만화책을 한번 보고난 후에도 신문을 보면 읽히지 않는것이 거의 대부분이었습니다. 뉴스를 보면 그냥 훅 훑어보기만 하고 뭔말이지 모르고 글자만 읽고 만 느낌이라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것은 경제 용어를 영어단어 공부하듯 보다가 모르면 휴대폰에 적어놓고, 네이버에 검색해서 그 뜻을 찾아내고 그와 관련된 기사 및 블로그 등 내용을 1~2개 정도 읽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조금씩 경제공부라고 부르기에는 맞지 않을수도 있지만 꽤 많은 것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왜 환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건지, 소비시장이 위축되면 왜 좋지 않은건지, 코스피가 뭔지 등 조금의 용어를 알게되니 그동안 감겼던 눈이 뜨인 느낌입니다.
만화를 읽는것도 좋았지만 경제잡지나 뉴스를 보면서 단어를 찾아보고 그에 관련있는 글을 읽어나가는 것이 경제공부방법에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뉴스에서 말하는 개미투자자, 주식과 채권의 차이를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지금도 보면서 이게 뭔말이야? 싶은 용어는 계속 적어놓습니다.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인 주식과 채권. 어제 뉴스를 보는데 외국인들이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고 하더군요. 이게 무슨말이지? 싶어 찾아보고 그 차이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단순히 경제공부할 때 용어를 단어처럼 외우는것보다 상황에 따라 궁금한 것을 직접 찾아보고 궁금증을 해소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게 경제신문을 구독 해 볼까? 하는 생각을 했다가 아무래도 매일 보는 신문은 부담스럽다고 느껴졌습니다. 매일 보지 않을 게 너무 눈에 뻔히 보이더라고요. 신문은 읽을 양이 너무 방대해서 전체를 읽기는 힘들거 같더군요.
다시금 떠울린 건 바로 '경제주간지'입니다. 일주일에 한번씩 받아보는 주간지요. 예전에 어떤 책에서 이런 내용을 본 적이 있습니다. 한 사업가였는데 그 분은 주간을 보면서 한달에 한번씩 중요한 내용은 따로 스크랩하여 1년에 스크랩한 내용을 책으로 엮어 보관하고 나머지 잡지를 버린다고 하더군요. 이렇게 하면 자신만의 경제서적이 만들어지는 것이지요. 꽤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네이버 검색을 해보니 많은 사람들이 '매경 이코노미'를 추천하길래 저도 그걸로 구독하려고 한다.
나처럼 이제 막 경제에 대해 더 알고싶어 하는 사람이라면 처음에는 만화나 유튜브 등 가볍게 시작하기를 권한다.
'잘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지리산 제작사 주가 UP UP! (0) | 2021.01.13 |
---|---|
노후자금 준비, 이것부터 시작 (0) | 2020.06.10 |
일하는 것, 한달 천만원 벌기 할 수 있을까 (0) | 2020.06.06 |
창업준비 사업이란? 장사와 차이는 무엇일까? (0) | 2020.04.28 |
스마트스토어 시작, 부업에서 전업으로 (0) | 2020.04.21 |